팀명 : printf("코딩뿌셔");
팀원 : 강지현, 유혜원, 장우혁, 황서연
강지현 | 유혜원 | 장우혁 | 황서연 |
---|---|---|---|
목표 : 다양한 문제풀이를 통하여 코딩실력 향상
시간 | 진행 |
---|---|
16:00 ~ 16:30 | 해당 주제 개념 요약 |
16:30 ~ 18:30 | 4문제 코드 리뷰 |
18:30 ~ 19:00 | 추가 리뷰 or 다음주 계획 |
※ | 3시간씩 진행 |
- 백준에서 4문제를 풀고 서로 코드 공유
- 각 문제에서 필요한 알고리즘 공부
- 알고리즘을 공유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문제 해결
홈페이지 문제를 4문제씩 풀기
-
1회차(23.03.28) - 스택, 반복문, 조건문
- 참석 : 강지현, 장우혁, 유혜원, 황서연
- 문제 번호 :
- 10828_스택
- 20949_효정과 새 모니터
- 2839_설탕 배달
- 9012_괄호
-
2회차(23.04.02) - 2차원배열, 반복문, 조건문
- 참석 : 강지현, 장우혁, 유혜원, 황서연
- 문제 번호 :
- 1244_스위치 켜고 끄리
- 1748_수 이어쓰기1
- 2167_2차원 배열의 합
- 7568_덩치
-
3회차(23.04.08) - 다이나믹 알고리즘, 반복문, 조건문
- 참석 : 강지현, 장우혁, 유혜원, 황서연
- 문제 번호 :
- 11656_접미사 배열
- 14494_다이나믹이 뭐예요?
- 1817_짐 챙기는 숌
- 5635_생일
-
4회차(23.04.23) - set, 배열, 반복문
- 참석 : 강지현, 장우혁, 유혜원, 황서연
- 문제 번호 :
- 1011_Fly me to the Alpha Centauri
- 1094_막대기
- 11047_동전 0
- 11478_서로 다른 부분 문자열의 개수
-
5회차(23.04.29) - 조건문, 반복문
- 참석 : 강지현, 장우혁, 유혜원, 황서연
- 문제 번호 :
- 11382_꼬마정민
- 11653_소인수분해
- 25314_코딩은 체육과목입니다
- 2754_학점계산
-
6회차(23.05.07) - 재귀함수, set, 이분탐색
- 참석 : 강지현, 장우혁, 유혜원, 황서연
- 문제 번호 :
- 1764_듣보잡
- 1680_쓰레기 수거
- 11729_하노이 탑 이동순서
- 10815_숫자카드
-
7회차(23.05.14) - 리스트, 반복문
- 참석 : 강지현, 장우혁, 유혜원, 황서연
- 문제 번호 :
- 1436_영화감독 숌
- 2576_홀수
- 10987_모음의 개수
- 10988_팰린드롬인지 확인하기
-
8회차(23.05.21) - 조합, 재귀, 유클리드 호제법
- 참석 : 강지현, 장우혁, 유혜원, 황서연
- 문제 번호 :
- 1735_분수 합
- 1010_다리 놓기
- 1049_기타줄
- 1205_등수 구하기
서로 다른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하면서 다양한 문제를 통하여 코딩 실력을 향상할 수 있었고 각 언어의 장단점을 비교할 수 있었다. 또한, 해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으면 해결한 사람이 본인의 알고리즘을 설명해주고 공유함으로써 내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방법과 더 효율적인 방법을 알 수 있었다. 문제유형이 다양했던 만큼 각각 주차마다 한 문제를 가지고 내가 사용하는 언어로는 저 알고리즘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저 언어에는 저런 함수가 있네? 내가 사용하는 언어에는 저 함수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함수가 무엇이 있을까? 등 많은 생각을 하면서 스터디를 진행했던것 같다.
여러 가지 알고리즘 문제를 풀면서 내가 알고 있던 방법 외에 다른 방법도 많다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풀지 못했던 문제, 어려웠던 문제들에 대한 설명을 팀원들에게 들으면서 새로운 풀이 방법을 알고 더욱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고 문제 설명을 통해 나만의 풀이법을 팀원에게 공유하면서 실력이 향상됨을 느꼈다. 또한 Java, Python, C언어를 통해 언어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확실하게 알고 비교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 처음엔 알고리즘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어서 문제를 풀어도 시간초과가 나는 경우가 굉장히 많았다. 하지만 한모코를 진행하면서 스택이나 재귀부터 시작해서 다이나믹 알고리즘, 유클리드 호제법 등 알고리즘에 대한 발을 넓힐 수 있었다. - 나 스스로 부족함을 알기에 문제를 풀때 라이브러리 사용을 최소한으로 하고 그 라이브러리를 내가 구현하는데 집중하였다. 결과적으로는 그 라이브러리의 구조를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고, 나중에 비슷한 문제를 풀 때 직접 구현했던 경험을 토대로 문제를 풀었더니 훨씬 쉽게 문제가 풀렸다. - 특정 알고리즘에 대한 내용을 인터넷에서 배우는것은 많은 한계가 있었으나, 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문제를 푼 팀원의 설명을 듣으니 훨씬 수월하게 이해가 되었다. 각자 다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문제를 풀고 서로의 풀이를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어떤 문제에서는 어떤 알고리즘을 이용해야 가장 효율적인 풀이가 되는지 알게되었다.
이번 한모코 활동을 통해 백준 문제를 꾸준히 풀며 코딩실력이 향상 된것 같다. 같은 문제를 다른 방법으로 풀어 보며 다양한 알고리즘을 배울 수 있었다. 그래서 잘 안풀리는 문제를 풀 때도 전 보다 더 다양한 방법들로 문제에 접근하여 해결 할 수 있었다. 또한 문제 풀이 후 평가를 통해 문제를 복습 할 수 있어서 더욱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다양한 프로그래밍언어로 하면서 각 언어의 차이점, 비슷한 점 등을 알 수 있었고, 잘 몰랐던 언어에 배울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