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0 Bump up dependencies. by samchon · Pull Request #214 · samchon/payments · GitHub
[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Skip to content

Bump up dependencies. #214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Merged
merged 1 commit into from
Jun 28, 2024
Merged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4 changes: 2 additions & 2 deletions package.jso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7 +1,7 @@
{
"private": true,
"name": "@samchon/payments",
"version": "8.0.1",
"version": "8.0.2",
"description": "Collection of Payment system of Samchon",
"scripts": {
"package:latest": "node deploy latest",
Expand Down Expand Up @@ -36,6 +36,6 @@
"prettier": "^3.2.4",
"prettier-plugin-prisma": "^5.0.0",
"rimraf": "^5.0.5",
"typescript": "^5.3.2"
"typescript": "^5.5.2"
}
}
16 changes: 8 additions & 8 deletions packages/fake-iamport-server/package.jso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6 +1,6 @@
{
"name": "fake-iamport-server",
"version": "8.0.1",
"version": "8.0.2",
"description": "Fake iamport server for testing",
"main": "lib/index.js",
"typings": "lib/index.d.ts",
Expand Down Expand Up @@ -38,11 +38,11 @@
},
"homepage": "https://github.com/samchon/fake-iamport-server",
"devDependencies": {
"@nestia/sdk": "^3.2.2",
"@nestia/sdk": "^3.3.2",
"@types/atob": "^2.1.2",
"@types/btoa": "^1.2.3",
"@types/cli": "^0.11.19",
"@types/node": "^15.6.1",
"@types/node": "^20.14.9",
"@types/uuid": "^9.0.1",
"@typescript-eslint/eslint-plugin": "^5.26.0",
"@typescript-eslint/parser": "^5.26.0",
Expand All @@ -53,13 +53,13 @@
"rimraf": "^3.0.2",
"sloc": "^0.2.1",
"ts-node": "^10.9.1",
"ts-patch": "^3.1.1",
"typescript": "^5.3.2"
"ts-patch": "^3.2.1",
"typescript": "^5.5.2"
},
"dependencies": {
"@nestia/core": "^3.2.2",
"@nestia/core": "^3.3.2",
"@nestia/e2e": "^0.6.0",
"@nestia/fetcher": "^3.2.2",
"@nestia/fetcher": "^3.3.2",
"@nestjs/common": "^10.2.8",
"@nestjs/core": "^10.2.8",
"@nestjs/platform-fastify": "^10.2.8",
Expand All @@ -70,7 +70,7 @@
"source-map-support": "^0.5.19",
"tstl": "^3.0.0",
"typescript-transform-paths": "^3.4.6",
"typia": "^6.1.0",
"typia": "^6.3.1",
"uuid": "^9.0.0"
},
"keywords": [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7,9 +17,9 @@ export * as otp from "./otp";
*
* `certiciations.at` 은 본인인증 정보를 열람할 때 사용하는 API 함수이다.
*
* 다만 이 API 함수를 통하여 열람한 본인인증 정보 {@link IIamportCertification } 이
* 다만 이 API 함수를 통하여 열람한 본인인증 정보 {@link IIamportCertification} 이
* 곧 OTP 인증까지 마쳐 본인인증을 모두 마친 레코드라는 보장은 없다. 본인인증의 완결
* 여부는 오직, {@link IIamportCertification.certified } 값을 직접 검사해봐야만 알
* 여부는 오직, {@link IIamportCertification.certified} 값을 직접 검사해봐야만 알
* 수 있기 때문이다.
*
* @param imp_uid 대상 본인인증 정보의 {@link IIamportCertification.imp_uid}
Expand Down
6D4E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5,13 +15,13 @@ import type { IIamportResponse } from "../../../structures/IIamportResponse";
*
* `certifications.otp.request` 는 아임포트 서버에 본인인증을 요청하는 API 함수이다.
* 이 API 를 호출하면 본인인증 대상자의 핸드폰으로 OTP 문자가 전송되며, 본인인증
* 대상자가 {@link certifications.otp.confirm } 을 통하여 이 OTP 번호를 정확히
* 대상자가 {@link certifications.otp.confirm} 을 통하여 이 OTP 번호를 정확히
* 입력함으로써, 본인인증이 완결된다.
*
* 또한 본인인증 대상자가 자신의 핸드폰으로 전송된 OTP 문자를 입력하기 전에도,
* 여전히해당 본인인증 내역은 {@link certifications.at } 함수를 통하여 조회할 수 있다.
* 다만, 이 때 리턴되는 {@link IIamportCertification } 에서 인증의 완결 여부를
* 지칭하는 {@link IIamportCertification.certified } 값은 `false` 이다.
* 여전히해당 본인인증 내역은 {@link certifications.at} 함수를 통하여 조회할 수 있다.
* 다만, 이 때 리턴되는 {@link IIamportCertification} 에서 인증의 완결 여부를
* 지칭하는 {@link IIamportCertification.certified} 값은 `false` 이다.
*
* @param input 본인인증 요청 정보
* @returns 진행 중인 본인인증의 식별자 정보
Expand Down Expand Up @@ -76,13 +76,13 @@ export namespace request {
/**
* 본인인증 시 발급된 OTP 코드 입력하기.
*
* `certifications.otp.confirm` 는 {@link certifications.otp.request } 를 통하여
* `certifications.otp.confirm` 는 {@link certifications.otp.request} 를 통하여
* 발급된 본인인증 건에 대하여, 본인인증 대상자의 휴대폰으로 전송된 OTP 번호를
* 검증하고, 입력한 OTP 번호가 맞거든 해당 본인인증 건을 승인하여 완료 처리해주는
* API 함수이다.
*
* 이처럼 본인인증을 완료하거든, 해당 본인인증 건 {@link IIamportCertification } 의
* {@link IIamportCertification.certified } 값이 비로소 `true` 로 변경되어,
* 이처럼 본인인증을 완료하거든, 해당 본인인증 건 {@link IIamportCertification} 의
* {@link IIamportCertification.certified} 값이 비로소 `true` 로 변경되어,
* 비로소 완결된다.
*
* @param imp_uid 대상 본인인증 정보의 {@link IIamportCertification.imp_uid}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3,12 +13,12 @@ import type { IIamportPayment } from "../../structures/IIamportPayment";
* 웹훅 이벤트 더미 리스너.
*
* `internal.webhook` 은 실제 아임포트의 서버에는 존재하지 않는 API 로써,
* `fake-impoart-server` 의 {@link Configuration.WEBHOOK_URL } 에 아무런 URL 을 설정하지
* `fake-impoart-server` 의 {@link Configuration.WEBHOOK_URL} 에 아무런 URL 을 설정하지
* 않으면, `fake-iamport-server` 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웹훅 이벤트는 이 곳으로 전달되어
* 무의미하게 사라진다.
*
* 따라서 `fake-iamport-server` 를 사용하여 아임포트 서버와의 연동을 미리 검증코자 할 때는,
* 반드시 {@link Configuration.WEBHOOK_URL } 를 설정하여 웹훅 이벤트가 귀하의 백엔드 서버로
* 반드시 {@link Configuration.WEBHOOK_URL} 를 설정하여 웹훅 이벤트가 귀하의 백엔드 서버로
*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자.
*
* @param input 웹훅 이벤트 정보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3,7 +13,7 @@ import type { IIamportSubscription } from "../../../structures/IIamportSubscript
/**
* 간편 결제 카드 정보 조회하기.
*
* `subscribe.customers.at` 은 고객이 {@link create } 나 혹은 아임포트가 제공하는
* `subscribe.customers.at` 은 고객이 {@link create} 나 혹은 아임포트가 제공하는
* 간편 결제 카드 등록 창을 이용하여 저장한 간편 결제 카드 정보를 조회하는 API
* 함수이다.
*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5,13 +15,13 @@ import type { IIamportSubscription } from "../../../structures/IIamportSubscript
* 카드로 결제하기, 더불어 간편 결제용으로 등록 가능.
*
* `subscribe.payments.onetime` 은 카드를 매개로 한 결제를 하고자 할 때 호출하는 API
* 함수이다. 더하여 입력 값에 {@link IIamportSubscription.IOnetime.customer_uid } 를
* 함수이다. 더하여 입력 값에 {@link IIamportSubscription.IOnetime.customer_uid} 를
* 기입하는 경우, 결제에 사용한 카드를 그대로 간편 결제용 카드
* {@link IIamportSubscription } 로 등록해버린다.
* {@link IIamportSubscription} 로 등록해버린다.
*
* 다만, 정히 간편 카드 등록과 결제를 동시에 하고 싶다면,
* `subscribe.payments.onetime` 에 {@link IIamportSubscription.IOnetime.customer_uid }
* 를 더하기보다, {@link subscribe.customers.create } 와 {@link subscribe.payments.again }
* `subscribe.payments.onetime` 에 {@link IIamportSubscription.IOnetime.customer_uid}
* 를 더하기보다, {@link subscribe.customers.create} 와 {@link subscribe.payments.again}
* 을 각각 호출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것이 예외적인 상황에 보다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기
* 때문이다.
*
Expand Down Expand Up @@ -85,7 +85,7 @@ export namespace onetime {
*
* `subscribe.payments.again` 은 고객이 간편 결제에 등록한 카드로 결제를 진행하고자 할 때
* 호출하는 API 함수이다. 이는 간편하고 불편하고를 떠나, 본질적으로 카드 결제의 일환이기에,
* 리턴값은 일반적인 카드 결제 때와 동일한 {@link IIamportCardPayment } 이다.
* 리턴값은 일반적인 카드 결제 때와 동일한 {@link IIamportCardPayment} 이다.
*
* 그리고 `subscribe.payments.again` 은 결제 수단 중 유일하게,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 아임포트가 제공하는 결체 창을 사용할 수 없어, 오직 귀하의 백엔드 서버가 아임포트의 API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5,10 +15,10 @@ import type { IIamportUser } from "../../structures/IIamportUser";
*
* 아임포트에 가입하여 부여받은 API 및 secret 키를 토대로, 유저 인증 토큰을 발행한다.
*
* 단, 아임포트가 발급해주는 유저 인증 토큰에는 유효 시간 {@link IIamportUser.expired_at }
* 단, 아임포트가 발급해주는 유저 인증 토큰에는 유효 시간 {@link IIamportUser.expired_at}
* 이 있어, 해당 시간이 지나거든 기 발급 토큰이 만료되어 더 이상 쓸 수 없게 된다. 때문에
* 아임포트의 이러한 시간 제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이 아임포트의 API 를 이용하고 싶다면,
* `iamport-server-api` 에서 제공해주는 {@link IamportConnector } 를 활용하도록 하자.
* `iamport-server-api` 에서 제공해주는 {@link IamportConnector} 를 활용하도록 하자.
*
* @param input 아임포트의 API 및 secret 키 정보
* @returns 유저 인증 토큰 정보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6,8 +6,6 @@ import { DomainError } from "tstl";
import { FakeIamportConfiguration } from "../FakeIamportConfiguration";
import { FakeIamportStorage } from "./FakeIamportStorage";

(global as any).fetch ??= require("node-fetch");

export namespace FakeIamportPaymentProvider {
export function create(payment: IIamportPayment): void {
FakeIamportStorage.payments.set(payment.imp_uid, payment);
Expand Down
16 changes: 8 additions & 8 deletions packages/fake-toss-payments-server/package.jso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6 +1,6 @@
{
"name": "fake-toss-payments-server",
"version": "8.0.1",
"version": "8.0.2",
"description": "Fake toss-payments server for testing",
"main": "lib/index.js",
"typings": "lib/index.d.ts",
Expand Down Expand Up @@ -39,11 +39,11 @@
"homepage": "https://github.com/samchon/fake-toss-payments-server",
"devDependencies": {
"@nestia/e2e": "^0.6.0",
"@nestia/sdk": "^3.2.2",
"@nestia/sdk": "^3.3.2",
"@types/atob": "^2.1.2",
"@types/btoa": "^1.2.3",
"@types/cli": "^0.11.19",
"@types/node": "^15.6.1",
"@types/node": "^20.14.9",
"@types/uuid": "^9.0.1",
"@typescript-eslint/eslint-plugin": "^5.26.0",
"@typescript-eslint/parser": "^5.26.0",
Expand All @@ -54,13 +54,13 @@
"rimraf": "^3.0.2",
"sloc": "^0.2.1",
"ts-node": "^10.9.1",
"ts-patch": "^3.1.1",
"typescript": "^5.1.6",
"ts-patch": "^3.2.1",
"typescript": "^5.5.2",
"typescript-transform-paths": "^3.4.6"
},
"dependencies": {
"@nestia/core": "^3.2.2",
"@nestia/fetcher": "^3.2.2",
"@nestia/core": "^3.3.2",
"@nestia/fetcher": "^3.3.2",
"@nestjs/common": "^10.2.8",
"@nestjs/core": "^10.2.8",
"@nestjs/platform-fastify": "^10.2.8",
Expand All @@ -70,7 +70,7 @@
"serialize-error": "^4.1.0",
"source-map-support": "^0.5.19",
"tstl": "^3.0.0",
"typia": "^6.1.0",
"typia": "^6.3.1",
"uuid": "^9.0.0"
},
"keywords": [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4,12 +14,12 @@ import type { ITossPaymentWebhook } from "../../structures/ITossPaymentWebhook";
* 웹훅 이벤트 더미 리스너.
*
* `internal.webhook` 은 실제 토스 페이먼츠의 결제 서버에는 존재하지 않는 API 로써,
* `fake-toss-payments-server` 의 {@link Configuration.WEBHOOK_URL } 에 아무런 URL 을
* `fake-toss-payments-server` 의 {@link Configuration.WEBHOOK_URL} 에 아무런 URL 을
* 설정하지 않으면, `fake-toss-payments-server` 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웹훅
* 이벤트는 이 곳으로 전달되어 무의미하게 사라진다.
*
* 따라서 `fake-toss-payments-server` 를 사용하여 토스 페이먼츠 서버와의 연동을 미리
* 검증코자 할 때는, 반드시 {@link Configuration.WEBHOOK_URL } 를 설정하여 웹훅
* 검증코자 할 때는, 반드시 {@link Configuration.WEBHOOK_URL} 를 설정하여 웹훅
* 이벤트가 귀하의 백엔드 서버로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자.
*
* @param input 웹훅 이벤트 정보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5,7 +25,7 @@ export * as authorizations from "./authorizations";
* 대한 별도의 설계 및 개발이 필요하니, 이 점을 염두에 두기 바란다.
*
* 더하여 `billing.pay` 는 철저히 귀사 백엔드 서버의 판단 아래 호출되는 API 함수인지라,
* 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결제는 일절 {@link payments.approve } 가 필요 없다. 다만
* 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결제는 일절 {@link payments.approve} 가 필요 없다. 다만
* `billing.pay` 는 이처럼 부차적인 승인 과정 필요없이 그 즉시로 결제가 완성되니, 이를
* 호출하는 상황에 대하여 세심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2,7 +22,7 @@ import type { ITossPaymentCancel } from "../../../structures/ITossPaymentCancel"
*
* 참고로 토스 페이먼츠는 다른 결제 PG 사들과 다르게,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에서 토스
* 페이먼츠의 결제 창을 이용하여 진행한 결제가 바로 확정되는 것은 아니다. 귀사의 백엔드
* 서버가 현재의 `payments.at` 을 통하여 해당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link approve } 를
* 서버가 현재의 `payments.at` 을 통하여 해당 결제 정보를 확인하고, {@link approve} 를
* 호출하여 직접 승인하기 전까지, 해당 결제는 확정되지 않으니, 이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
* @param paymentKey 결제 정보의 {@link ITossPayment.paymentKey}
Expand Down Expand Up @@ -73,13 +73,13 @@ export namespace at {
*
* 그리고 귀하의 백엔드 서버가 `payments.key-in` 을 직접 호출하는 경우, 토스 페이먼츠
* 서버는 이를 완전히 승인된 결제로 보고 바로 확정한다. 때문에 `payments.key-in` 을
* 직접 호출하는 경우, 토스 페이먼츠의 결제 창을 이용하여 별도의 {@link approve } 가
* 직접 호출하는 경우, 토스 페이먼츠의 결제 창을 이용하여 별도의 {@link approve} 가
* 필요한 때 대비, 훨씬 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
* 더하여 만약 귀하의 백엔드 서버가 `fake-toss-payments-server` 를 이용하여 고객의
* 카드 결제를 시뮬레이션하는 경우, {@link ITossCardPayment.ICreate.__approved } 값을
* 카드 결제를 시뮬레이션하는 경우, {@link ITossCardPayment.ICreate.__approved} 값을
* `false` 로 하여 카드 결제의 확정을 고의로 회피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토스
* 페이먼츠의 결제 창을 이용한 카드 결제의 경우, 별도의 {@link approve } 가 필요한
* 페이먼츠의 결제 창을 이용한 카드 결제의 경우, 별도의 {@link approve} 가 필요한
* 상황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
* @param input 카드 결제 입력 정보
Expand Down Expand Up @@ -141,8 +141,8 @@ export namespace key_in {
* 함수이다.
*
* 만일 귀하가 `fake-toss-payments-server` 를 이용하여 결제를 시뮬레이션하는 경우라면,
* 결제 관련 API 를 호출함에 있어 {@link ITossCardPayment.ICreate.__approved } 내지
* {@link ITossVirtualAccountPayment.ICreate.__approved } 를 `false` 로 함으로써, 별도
* 결제 관련 API 를 호출함에 있어 {@link ITossCardPayment.ICreate.__approved} 내지
* {@link ITossVirtualAccountPayment.ICreate.__approved} 를 `false` 로 함으로써, 별도
* 승인이 필요한 이러한 상황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
* @param paymentKey 대상 결제의 {@link ITossPayment.paymentKey}
Expand Down Expand Up @@ -203,7 +203,7 @@ export namespace approve {
*
* `payments.cancel` 은 결제를 취소하는 API 이다.
*
* 결제 취소 입력 정보 {@link ITossPaymentCancel.ICreate } 에는 취소 사유를 비롯하여,
* 결제 취소 입력 정보 {@link ITossPaymentCancel.ICreate} 에는 취소 사유를 비롯하여,
* 고객에게 환불해 줄 금액과 부가세 및 필요시 환불 계좌 정보 등을 입력하게 되어있다.
*
* @param paymentKey 결제 정보의 {@link ITossPayment.paymentKey}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14,7 +14,7 @@ import type { ITossVirtualAccountPayment } from "../../../structures/ITossVirtua
*
* `virtual_accounts.create` 는 고객이 결제 수단을 가상 계좌로 선택하는 경우에 호출되는
* API 함수이다. 물론 고객이 이처럼 가상 계좌를 선택한 경우, 고객이 지정된 계좌에 돈을
* 입금하기 전까지는 결제가 마무리된 것이 아니기에, {@link ITossPayment.status } 값은
* 입금하기 전까지는 결제가 마무리된 것이 아니기에, {@link ITossPayment.status} 값은
* `WAITING_FOR_DEPOSIT` 이 된다.
*
* 참고로 `virtual_accounts.create` 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이 토스 페이먼츠가
Expand All @@ -25,7 +25,7 @@ import type { ITossVirtualAccountPayment } from "../../../structures/ITossVirtua
* 그리고 `virtual_accounts.create` 이후에 고객이 지정된 계좌에 금액을 입금하거든, 토스
* 페이먼츠 서버로부터 웹훅 이벤트가 발생되어 귀하의 백엔드 서버로 전송된다. 만약 연동
* 대상 토스 페이먼츠 서버가 실제가 아닌 `fake-toss-payments-server` 라면,
* {@link internal.virtual_accounts.deposit } 를 호출하여, 고객이 가상 계좌에 입금하는
* {@link internal.virtual_accounts.deposit} 를 호출하여, 고객이 가상 계좌에 입금하는
* 상황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
*
* @param input 가상 결제 신청 정보.
Expand Down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2,9 +2,6 @@ import { ITossPaymentWebhook } from "toss-payments-server-api/lib/structures/ITo

import { FakeTossConfiguration } from "../FakeTossConfiguration";

// POLYFILL FOR NODE
(global as any).fetch ??= require("node-fetch");

export namespace FakeTossWebhookProvider {
export async function webhook(input: ITossPaymentWebhook): Promise<void> {
await fetch(FakeTossConfiguration.WEBHOOK_URL, {
Expand Down
10 changes: 5 additions & 5 deletions packages/iamport-server-api/package.json B51C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6 +1,6 @@
{
"name": "iamport-server-api",
"version": "8.0.1",
"version": "8.0.2",
"description": "API for Iamport Server",
"main": "lib/index.js",
"typings": "lib/index.d.ts",
Expand Down Expand Up @@ -30,11 +30,11 @@
"devDependencies": {
"rimraf": "^5.0.1",
"ts-node": "^10.9.1",
"ts-patch": "^3.1.1",
"typescript": "^5.3.2"
"ts-patch": "^3.2.1",
"typescript": "^5.5.2"
},
"dependencies": {
"@nestia/fetcher": "^3.2.2",
"typia": "^6.1.0"
"@nestia/fetcher": "^3.3.2",
"typia": "^6.3.1"
}
}
Loading
Loading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