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785U - A Trampolines - Google Patents
A Trampolin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3785U KR20170003785U KR2020160002250U KR20160002250U KR20170003785U KR 20170003785 U KR20170003785 U KR 20170003785U KR 2020160002250 U KR2020160002250 U KR 2020160002250U KR 20160002250 U KR20160002250 U KR 20160002250U KR 20170003785 U KR20170003785 U KR 2017000378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safety cover
- jumping
- jumping mat
- ma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9191 jump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4701 Peroneal nerve pals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이들이 점핑 놀이시에 발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안전커버에 점핑 동작중에 발이 걸려서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커버가 일체로 형성된 트램펄린에 관한 것으로, 점핑매트의 테두리에 프레임틀에 연결을 위한 다수의 탄성요소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점핑매트의 테두리 상면에 테두리가 밴드부로 이루어진 안전커버를 봉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점핑매트와 안전커버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전커버가 프레임틀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수단을 더 구비토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poline in which a safety cover is integrally formed to prevent a child from being hurt and injured during a jumping operation by a safety cover provided for preventing a child from falling out during jumping play, A plurality of elastic elements for the jumping mat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safety cover having a band part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of the jumping mat by a bar so that no gap is formed between the jumping mat and the safety cover.
Further, a fixing means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safety cover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frame frame.
Description
본 고안은 트램펄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이들이 점핑 놀이시에 발빠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안전커버에 점핑 동작중에 발이 걸려서 다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안된 트램펄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po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mpoline designed to prevent a child from being hurt and injured during a jumping operation by a safety cover installed to prevent a child from falling out during jumping play.
일반적으로 트램펄린은 탄력을 이용하여 점핑은 물론 점핑력을 증가시켜 덤블링 등과 같은 다양한 자세를 연습하는 운동기구로 사용되었고, 현재에는 운동기구뿐만이 아니라 어린이들의 놀이기구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In general, trampoline has been used as a fitness device to practice various postures such as dumbbling by increasing jumping ability as well as jumping by using elasticity, and nowadays it is widely used not only for exercise equipment but also for children's play equipment.
이러한 트램펄린은 실외에서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대형의 트램펄린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형의 트램펄린으로 그 크기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These trampolines are large trampolines used for outdoor use and small trampolines for general household use.
일반가정에서 사용되는 소형의 트램벌린은 원형, 육각, 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형태를 위하여 프레임바 두 개가 절첩가능하게 형성된 조립되는 프레임틀과 상기 조립된 프레임틀 내측에 점핑매트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점핑매트의 테두리에 다수의 탄성밴드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점핑매트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가 되도록 탄성밴드를 프레임틀에 끼워지게 되고 프레임틀 하단에는 일정간격으로 다리대가 조립에 의해 설치되어 있어 점핑매트에서 점프를 하게 되면 탄성밴드의 탄력에 의해 높이 점핑을 하게 되는 것이다.A small tram girder used in a general househol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 hexagonal shape, a rectangular shape, and a frame frame for assembling the frame bar so that two frame bars are foldable for this shape and a jumping mat are installed inside the frame frame A plurality of elastic band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rim of the jumping mat so that the elastic bands are fitted into the frame frame so that the jumping mat is stretched in an unfolded state, When jumping on a jumping mat, the jumping height is caused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
그러나 프레임틀과 점핑매트를 연결하는 탄성밴드가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아이들이 점핑 동작중에 탄성밴드가 형성되는 프레임틀과 점핑매트의 간격사이로 다리가 빠지게 되는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elastic band connecting the frame frame and the jumping mats is always exposed, the legs are injured when the jumps are interrupted between the frame frame where the elastic band is formed and the gap between the jumping mats.
따라서 최근에 노출된 점핑매트와 프레임틀의 간격사이를 가림토록 안전커버를 프레임틀의 테두리에서 점핑매트 테두리 부분까지 감싸지도록 덧씌워 발빠짐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토록 하였다.Therefore, the safety cover was wrapped from the rim of the frame frame to the edge of the jumper mat so as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jumper mat and the frame frame recently exposed, thereby preventing the accidental accident by preventing the foot drop.
그러나 이러한 안전커버의 문제점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이 점핑동작 중에 점핑매트와 안전커버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면서 안전커버에 발이 걸려지게 될 경우에 아이들이 앞으로 넘어지게 되는 더 위험한 부상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었다.However, the problem of such a safety cover is that as shown in FIG. 1, a gap is formed between the jumping mat and the safety cover during the jumping operation, resulting in a more dangerous injury in which the children fall forward when the safety cover is touched .
또한 점핑매트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보관이 용이치 못하고 사용을 위하여 설치시에 별도로 보관된 안전커버를 찾아야 됨은 물론 덧씌우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since it is constructed separately from the jumping mat, it is not easy to store, and in order to use it, it is necessary to find a safety cover which is separately stored at the time of installation, and the installation work is very troublesome because it needs to be cover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과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점핑 놀이시에 탄력으로 인하여 발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커버와 점핑매트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아이들이 안전하게 점핑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sy to store and install, to prevent a gap between a safety cover and a jumping mat for preventing a kick- So that it can play jump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고안은 점핑매트의 테두리에 프레임틀에 연결을 위한 다수의 탄성요소를 일정간격으로 형성하고 점핑매트의 테두리 상면에 안전커버를 일체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is to form a plurality of elastic elements for connecting to a frame frame at regular intervals on the rim of the jumping mat and to form a safety cover integr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of the jumping mat.
상기 안전커버는 점핑매트의 테두리 상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봉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safety cover is integrally formed by a bar material in a state of being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im of the jumping mat.
또한 상기 안전커버의 테두리에는 프레임틀의 씌움고정을 위한 밴드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전커버에는 고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안전커버가 프레임틀에서 점핑동작 중에 임의로 벗겨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Further, the edge of the safety cover is formed of a band body for fixing the frame frame, and the safety cover is further provided with fixing means so that the safety cover is not peeled off at any time during the jumping operation in the frame frame.
따라서 본 고안의 트램펄린에 의하면, 점핑매트에 안전커버를 봉재로 일체로 형성토록 되어짐으로 보관이 용이하면서 점핑매트를 프레임틀에 장착한 상태에서 간단하게 덧씌워짐으로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점핑 놀이시에 프레임틀과 점핑매트 간격사이를 가림토록 하여 발빠짐을 방지하는 효과와 점핑매트에 탄력이 발생되어도 안전커버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발걸림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어 안전한 점핑놀이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fety cover is integrally formed as a bar in the jumping mat, the jumping m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jumping mat is mounted on the frame frame, The frame frame and the jumping mat gap ar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jumping mat is prevented from generating a gap between the safety cover and the jumping mat. .
도1은 종래의 트램펄린에 안전커버가 덧씌워진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안전커버가 점핑매트에 일체로 형성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점핑매트와 안전커버가 봉재를 위해 결합되는 상태의 결합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점핑매트가 프레임틀에 장착된 상태에서 안전커버가 덧씌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점핑매트에서 점핑시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작동되는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안전커버가 임의로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수단이 형성된 저면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rampoline covered with a safety cover.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afety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on a jumping ma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ing ma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afety cover joined together for a bar.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afety cover is covered when the jumping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rame frame.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jumping ma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d so as to prevent a gap from being generated during jumpin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n which fixing means are formed so that the safety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eeled off arbitrarily.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고안의 트램펄린의 기본적인 구성은 다리대(110)가 형성된 프레임틀(100)과 상기 프레임틀(100)의 내측으로 탄성요소(20)에 의해 연결되는 점핑매트(10)와 상기 프레임틀(100)과 점핑매트(10)의 간격 사이를 가려주는 안전커버(30)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basic structure of the trampo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트렘펄린은 프레임틀(100)에 연결을 위하여 점핑매트(10)의 테두리에 다수의 탄성요소(2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점핑매트(10)의 테두리 상면으로는 프레임틀(100)에 덧씌워져 점핑매트와 프레임틀을 연결하는 탄성요소가 위치되는 간격사이를 가림토록 하는 안전커버(30)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trampur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따라서 상기 점핑매트(10)를 프레임틀(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점핑매트(10)에 일체로 형성된 안전커버(30)를 프레임틀(100)에 덧씌움으로써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상기 프레임틀(100)은 금속재질로 제조되는 것이고, 외관형상이 원형, 타원형, 육각,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성가 프레임틀(100)의 외관형상에 따라서 점핑매트(10)도 상기 프레임틀(100)과 동일한 형상으로 재단되어 형성되는 것이다.The
상기 프레임틀(100)은 두 개의 프레임바(100a,100b)를 서로 연결하여 조립되는 것으로, 프레임바(100a,100b)의 양 끝단에는 암,수로 된 결합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20)를 서로 맞물림토록 한 상태에서 분리되지 않게 고정나사(130)로 고정토록 하고 결합되는 부분에 절첩부를 형성하여 상기 절첩부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형성되어 보관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The
따라서 두 개로 분리되는 프레임바 각각에 점핑매트(10)에 형성된 탄성요소(20)를 순차적으로 끼운 상태에서 분리된 프레임바를 조립하고 이 상태에서 점핑매트(10)에 일체로 형성된 안전커버(30)를 프레임틀(100)의 감싸도록 덧씌워줌으로써 설치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separated frame bar is assembled in the state where the
상기 점핑매트(10)는 탄성재질의 직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면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가 인쇄되는 인쇄면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The jumping
상기 탄성요소(20)는 탄성밴드를 사용하는 것이고, 점핑매트(10)의 테두리의 저면에 탄성밴드의 일단과 타단을 고리형태가 되도록 중첩시켜 이러한 탄성밴드 다수 개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하고 이 상태에서 마감천(21)을 덧대도록 한 상태에서 봉재 박음으로 일체로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상기 탄성요소(20)는 하나의 실시 예로 탄성밴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면과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스프링(미도시)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이러한 탄성요소(20)의 재질이 본 고안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a spring (not shown) may be used as the
상기 탄성요소(20)를 스프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스프링(미도시)의 양 선단에 고리를 형성하고, 프레임틀(100)과 점핑매트(20)에는 연결고리(미도시)를 형성하여 프레임틀(100)과 점핑매트(20)를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상기 안전커버(30)는 점핑매트(10)의 테두리 상면에 봉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안전커버(30)는 점핑매트(10)의 저면으로 탄성요소(20)를 구비토록 하기 위하여 마감천(21)이 봉재된 부분이 점핑매트(10)의 상면에서 보여지지 않도록 마감천(21)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토록 한 상태에서 틈새가 형성되지 않게 봉재하여 일체로 형성토록 한 것이다.The
따라서 점핑매트(10)와 안전커버(3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서 점핑매트(10)와 안전커버(30)를 함께 보관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고, 점핑매트(10)가 프레임틀(100)에 설치토록 한 상태에서 안전커버(30)를 덧씌우는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상기 안전커버(30)의 테두리는 프레임틀(100)에 덧씌워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밴드부(31)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rim of the
또한 상기 안전커버(30)에는 점핑 동작시에 프레임틀(100)에서 안전커버(30)가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프레임틀(100)을 감싸는 고정수단(32)을 더 구비토록 한 것이다.The
상기 고정수단(32)은 띠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수단(32)의 선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의 점핑매트(10)의 마감천(21)에 밸크로를 형성하여 간단하게 탈,부착되도록 한 것이다.The
상기 고정수단(32)으로 사용되는 밸크로는 하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재질이 본 고안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로 사용가능한 것이다. The valve used as the fixing means 32 shows one embodiment, and the material does not limi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used in various ways.
10: 점핑매트
20: 탄성요소 21: 마감천
30: 안전커버 31: 밴드부
32: 고정수단
100: 프레임틀 110: 다리대10: Jumping mat
20: Elastic element 21: Cloth
30: safety cover 31: band portion
32: Fixing means
100: frame frame 110:
Claims (5)
테두리에 프레임틀(100)의 연결을 위한 다수의 탄성요소(2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점핑매트(10)와,
상기 점핑매트(10)의 테두리 상면으로 프레임틀(100)에 씌워지는 안전커버(30)가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일체로 이루어진 발 빠짐과 발 걸림을 방지한 트램펄린.A trampoline in which a jumping mat (10) is connected by an elastic element (20) to the inside of a frame frame (100) having a leg base (110)
A jumping mat (10) having a plurality of elastic elements (2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for connection of the frame (100)
Wherein the safety cover (30) covering the frame (100) with the top surface of the jumping mat (10) prevents the footstep and the footstep from being integrally formed so as not to generate a gap.
상기 탄성요소(20)는 탄성밴드를 사용하여 점핑매트(10)의 테두리의 저면에 탄성밴드의 일단과 타단을 중첩시켜 고리형태가 되도록 다수 개를 일정간격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마감천(21)을 덧대어 봉재 박음으로 일체로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 빠짐과 발 걸림을 방지한 트램펄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astic element 20 is formed by overlapp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im of the jumping mat 10 using elastic bands, So that the trampoline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trampoline.
상기 안전커버(30)는 점핑매트(10)의 테두리 상면에 저면에서 봉재된 마감천(21)이 보여지지 않도록 마감천(21)과 대응되게 위치토록 한 상태에서 틈새가 형성되지 않게 봉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 빠짐과 발 걸림을 방지한 트램펄린.3. The method of claim 2,
The safety cover 30 is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jumping mat 10 in such a manner as to be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losure cloth 21 so that the closure cloth 21 sewn on the bottom surface is not visible, Wherein the trampolin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trampoline.
상기 안전커버(30)에는 프레임틀(100)에서 덧씌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테두리에 밴드부(3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 빠짐과 발 걸림을 방지한 트램펄린.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afety cover (30) is formed with a band portion (31) at a rim thereof so as to maintain the overlapped state of the frame frame (100).
상기 안전커버(30)에는 점핑 동작시에 프레임틀(100)에서 안전커버(30)가 벗겨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수단(31)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 빠짐과 발 걸림을 방지한 트램펄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afety cover (30) is further provided with fixing means (31) for preventing the safety cover (30)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frame (100) during jumping oper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250U KR20170003785U (en) | 2016-04-26 | 2016-04-26 | A Trampolin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250U KR20170003785U (en) | 2016-04-26 | 2016-04-26 | A Trampolin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785U true KR20170003785U (en) | 2017-11-03 |
Family
ID=60408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2250U KR20170003785U (en) | 2016-04-26 | 2016-04-26 | A Trampolin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003785U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6928A (en) * | 2018-04-18 | 2018-05-09 | 서기곤 | camp-bed sheet |
CN109364423A (en) * | 2018-09-23 | 2019-02-22 | 朱国 | It is a kind of novel jumping bed |
CN113209544A (en) * | 2021-06-09 | 2021-08-06 | 惠州市佳联运动用品有限公司 | Elastic bed |
KR20210002803U (en) * | 2020-06-08 | 2021-12-15 | 성동호 | Trampoline with removable connection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7000A (en) | 2002-11-28 | 2004-06-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course select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
KR200394374Y1 (en) | 2005-06-14 | 2005-08-31 | 신윤미 | Trampoline at safety |
-
2016
- 2016-04-26 KR KR2020160002250U patent/KR20170003785U/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7000A (en) | 2002-11-28 | 2004-06-0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course select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
KR200394374Y1 (en) | 2005-06-14 | 2005-08-31 | 신윤미 | Trampoline at safety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6928A (en) * | 2018-04-18 | 2018-05-09 | 서기곤 | camp-bed sheet |
CN109364423A (en) * | 2018-09-23 | 2019-02-22 | 朱国 | It is a kind of novel jumping bed |
KR20210002803U (en) * | 2020-06-08 | 2021-12-15 | 성동호 | Trampoline with removable connections |
CN113209544A (en) * | 2021-06-09 | 2021-08-06 | 惠州市佳联运动用品有限公司 | Elastic be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9101320A4 (en) | Trampoline | |
KR20170003785U (en) | A Trampolines | |
CN100577862C (en) | playground obstacle equipment | |
US8764610B2 (en) | Trampoline equipped with a protective circular net | |
US7794360B2 (en) | Trampoline and the like with enclosure | |
US8672813B2 (en) | Rebounding arena construction systems | |
US20150080186A1 (en) | Decorative and safety assembly for dressing a trampoline | |
US20160045775A1 (en) | Trampoline with elastic net covered by wrapping fabric | |
CA2895883C (en) | Popped-up playmat assembly | |
US20190009120A1 (en) | Trampoline with shielded perimeter | |
US10780334B2 (en) | Zippered safety layer in a trampoline | |
US20150045188A1 (en) | Trampoline System Having Arcuated Jumping Surfaces | |
CA2918029A1 (en) | Popped-up playmat assembly | |
KR101285066B1 (en) | Trampoline safety covers | |
AU2021206803A1 (en) | Trampoline equipment and methods | |
AU2014100333A4 (en) | Improvement of Trampoline Net Structure | |
KR101361807B1 (en) | Complex playing apparatus | |
KR102091932B1 (en) | Folding trampoline with safe and easy hinge structure | |
CN201147593Y (en) | Trampoline | |
KR102369522B1 (en) | House Type Trampoline | |
KR101322039B1 (en) | Trampoline | |
US9295867B1 (en) | Trampoline net | |
US20150290485A1 (en) | Under trampoline safety fence | |
KR200452947Y1 (en) | Trampoline landing support | |
KR101791558B1 (en) | Playing device for jump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6042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6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70311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0630 |
|
AMND | Amendment | ||
U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9012R01I |
|
UX0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707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1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U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3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X06013S01I |
|
X601 |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497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U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code: UJ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3 Patent event code: UJ02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30 Appeal identifier: 2017101004970 Request date: 2017101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8022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J0801 | Dismissal of trial |
Patent event date: 20180223 Patent event code: UJ08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Request for Trial (Dismissal of Decision) Request date: 20171013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80223 Appeal identifier: 2017101004970 |